
지난해 서울에서 진료받은 건강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이 다른 지역 거주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30일 내놓은 2022년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진료 실인원은 5061만명(의료급여 포함)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진료 실인원 비율은 서울이 41.7%로 가장 많았다. 1530만명 중 638만명이 다른 지역 출신이었다. 서울 다음으로는 세종(37.0%), 대전(35.3%), 광주(34.2%)에서 다른 지역 출신 환자 진료 비율이 높았다.
지난해 국내 요양기관은 총 10만396곳(약국 포함)이고, 의사(양·한방)가 16만3115명, 간호사는 25만4227명이었다. 지난해 건강보험 적용 인구와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더한 의료보장 인구 10만명당 시도별 의사 수는 서울 466명, 광주 376명, 대전 367명 순서로 많았다.
의료보장인구 10만명당 간호사 수는 광주 681명, 대구 644명, 서울 633명의 순서였다.
지난해 전국 평균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19만1320원이었다. 시도별로는 전남이 24만4845원으로 가장 많고, 세종이 15만2533원으로 가장 적었다. 의료보장 전체 진료비는 116조2330억원이었다.
환자 거주지 기준으로 시도별 관내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비 비율은 대구가 91.5%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부산(89.6%), 서울(89.5%)의 순서였고, 충남(67.0%)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보험료 부과금액은 총 76조3314억원으로 2022년보다 9.7% 늘었다. 직장보험료가 65조9399억원, 지역보험료가 10조3915억원이었다.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는 직장보험료의 경우 서울(15만5341원), 세종(15만3288원), 울산(14만8444원) 순서로 많았다. 지역보험료도 서울(11만8999원)과 세종(10만8690원) 순서로 많았다.
지난해 말 기준 의료보장 적용인구는 5293만명으로 2021년보다 0.01% 늘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년 전보다 5.21% 늘어난 938만명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전남(24.8%), 경북(23.4%), 전북(22.9%) 순서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컸다.
2022년 의료보장 적용인구 10만명당 주요 암질환 중에는 유방암 환자가 469명으로 가장 많았다. 10만명당 고혈압 환자는 1만4404명, 당뇨병 환자는 7437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