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에서 1.4%로 낮췄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3%로 올렸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29일 이런 내용의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OECD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4%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9월 발표한 전망치(1.5%)보다 0.1%포인트 낮은 것이다. 정부(1.4%)와 한국은행(1.4%), 국제통화기금(IMF·1.4%) 등의 전망치와 같다.
OECD는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3%로 종전 전망치(2.1%)보다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과 같이 2.7%로 유지하면서 한국경제 성장률은 높여 잡았다.
기재부는 "내년 중국 성장률 전망치가 4.6%에서 4.7%로 상향 조정되고, 최근 반도체 경기 회복세를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OECD는 2025년 성장률을 2.1%로 제시해 내년(2.3%)보다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OECD는 "금리와 에너지 가격 상승이 단기적으로 민간 소비와 투자에 부담을 주고 있다"면서도 "수출이 반도체 수요 회복에 힘입어 개선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소비·투자의 하방 요인이 완화돼 국내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경기의 상방 요인으로 예상보다 강한 세계경제 성장세 등을, 하방 요인으로는 세계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가계·기업 부채 부담 증가 등을 지목했다.
OECD는 우리나라 올해 물가상승률을 3.6%로 예상해 종전 전망치(3.4%)보다 0.2%포인트 높게 잡았다.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2.6%에서 2.7%로 0.1%포인트 높였다.
OECD는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밀어 올렸지만, 근원물가 상승세는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며 2025년 물가안정 목표치 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현 기준금리 수준이 내년 하반기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준금리는 올해 1월 3.5%로 인상된 이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OECD는 기준금리가 2025년 2.5%까지 점차 인하될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재정지출 압력이 2040년 국내총생산(GDP)의 5%까지 상승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에 재정준칙 시행과 연금개혁 등의 재정건전성을 높이는 정책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