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분기 합계출산율이 0.7명으로 3분기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서울은 0.54명에 머물렀다. 연말에 출생아가 줄어드는 추세를 감안하면 4분기에는 0.6명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통계청이 29일 내놓은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3분기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70명으로 지난해 3분기 대비 0.10명 줄었다. 200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전 분기를 통틀어 최저치였던 지난해 4분기·올해 2분기와 같은 출산율이자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다.
전국 17개 모든 시도에서 합계출산율이 1명 아래로 내려갔다. 서울 출산율이 0.54명으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3분기(0.60명) 대비 0.06명 감소했다. 17개 시도 중 출산율이 가장 높았던 세종시도 지난해 3분기 1.04명에서 올해 0.86명으로 1명 미만으로 주저앉았다.
3분기 출생아 수는 5만6794명으로 지난해 3분기 대비 7381명(11.5%) 감소했다. 3분기 사망자 수는 8만7143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797명(2.1%) 증가했다.
9월 출생아 수는 1만8707명으로 지난해 9월 대비 3211명(14.6%) 감소한 반면, 사망자 수는 2만8364명으로 869명(3.0%) 줄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인구는 9657명 자연 감소했다. 2019년 11월부터 47개월째 감소행진을 이어갔다.
3분기 혼인 건수는 4만1706건으로 지난해 3분기(4만5413건)보다 3707건(8.2%) 감소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3분기 기준 역대 가장 적었다. 9월 혼인 건수는 1만2941건으로 지난해 9월보다 1807건(12.3%) 감소해 9월 기준 역대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