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9월 누적 수출액 기준 1년새 수출이 가장많이 증가한 상위 10개국가에 포함

그동안 수출 비중이 크지 않았던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국가로의 수출이 올해 들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8일 내놓은 '우리나라의 국가별 수출 실적과 호조 국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누적 수출액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출이 가장 많이 증가한 상위 10개 국가는 폴란드, 헝가리, 튀르키예, 키르기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카자흐스탄, 미국, 아랍에미리트(UAE), 벨기에, 카타르 순서였다.
이들 국가 중 미국을 제외한 9개국은 한국 수출 규모 13위 폴란드, 55위 카타르 등 10∼50위권 국가다. 9개국의 수출 규모를 합치면 약 336억9000만달러로 수출 4위인 일본(214억9000만달러)을 웃도는 수준이다.
수출액 증가율 1위인 폴란드의 경우 올해 들어 9월까지 수출액이 69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억6000만달러(28.6%) 늘었다. 헝가리 수출액은 54억9000만달러로 12억4000만달러(29.2%), 튀르키예 수출액은 69억5000만달러로 10억2000만달러(17.1%) 각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출액 증가율은 키르기스스탄이 332.3%로 가장 높았다.
대한상의는 유럽연합(EU) 진출 교두보 국가의 생산 확대(폴란드·헝가리·튀르키예),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환경 변화(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 방위산업 등 정부의 경제 외교(사우디·UAE·카타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지역에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정부 지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출시장을 확대하고, 수출 품목도 소비재 등으로 다양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대한상의 강석구 조사본부장은 "세계 무역시장은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방향으로 분절화하고 있다"며 "크고 익숙한 시장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발전 가능성이 큰 틈새시장을 찾으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