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들이 정기예금에서 거액을 인출해가면서 잔액 10억원이 넘는 예금 증가세가 10년 만에 꺾였다. 한국은행의 예금 통계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시중은행의 저축성예금(정기예금, 정기적금, 기업자유예금, 저축예금)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한 계좌의 총예금은 772조4270억원이었다. 지난해 말(796조3480억원)보다 23조9210억원(3.0%) 감소했다.
10억원 초과 고액 예금 잔액은 2018년 상반기 500조원, 2019년 하반기 600조원, 2021년 상반기 700조원을 넘어서며 증가세를 이어왔는데 800조원을 눈앞에 두고 감소했다. 10억원 초과 고액 예금 잔액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3년 6월 말 379조5800억원에서 그 해 12월 말 362조8260억원으로 줄어든 이후 약 10년 만이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21년 말 13.8%에서 지난해 말 3.5%로 큰 폭으로 축소됐다.
세부적으로 정기예금 감소가 전체 10억원 초과 예금 잔액 감소를 주도했다. 6월 말 기준 10억원 초과 정기예금 잔액은 538조816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5조7300억원(4.6%) 줄었다.
같은 기간 10억원 초과 기업자유예금 잔액은 219조8900억원에서 222조5850억원으로 늘었다. 저축예금 잔액은 11조5250억원에서 10조5380억원으로 줄었다.
기업자유예금은 법인이 일시 여유자금을 은행에 예치하는 것이고, 저축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결제성 예금이다. 금융계는 고금리가 지속되자 기업들이 정기예금에서 자금을 인출해 기존 대출을 갚거나 회사채 상환 용도로 쓰며 디레버리징(부채 축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고액 정기예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의 고액 예금 계수가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가 지난 2월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20조원을 차입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예금이 전 금융기관에서 감소했다. 현대차는 미국의 금리상승 여파로 수출입 거래 시 이자율에 해당하는 환가료가 비싸지면서 수출 신용장 매입 거래가 줄면서 외화에서 원화로 환전해 원화 정기예금에 가입하는 액수가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