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세 이상 가구의 이자 비용이 소득세·재산세 등 정기적인 세금 부담보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소득 기반이 취약한 은퇴 가구가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주 연령이 60세 이상인 가구의 월평균 이자 비용은 지난해 2분기(6만8000원)보다 45.8% 늘어난 9만9000원이었다. 이와 달리 소득세·재산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경상조세)은 9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2.4% 줄면서 이자 비용을 밑돌았다.
60세 이상 가구의 이자 비용은 지난해 2분기(53.0%)부터 전년 동기 대비 27∼53%씩 늘며 급증하는 추세다. 반면 경상조세는 60세 이상 가구 소득 증가율이 전 연령대 평균을 밑돌면서 지난해 1분기 이후 1개 분기를 제외하고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60세 이상 가구 이자 비용이 경상조세를 넘어선 것은 2017년 4분기 이후 5년 6개월만이다. 고금리 여파로 이자 비용이 빠르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분기 60세 이상 가구의 이자 비용 증가 폭은 30대 이하 가구(65.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지만 소득 감소 폭(-1.1%)은 전 연령대 중 가장 컸다. 60세 이상 가구는 가구주 대부분이 은퇴자들이라서 소득 수준(464만원)도 전 연령대 중 가장 낮다.
소득 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이자 부담이 큰 폭으로 늘면서 가계가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은 더 축소됐다. 2분기 60세 이상 가구 처분가능소득은 1년 전 대비 2.3% 줄면서 2016년 1분기(-3.2%) 이후 7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전체 소득은 5만2000원(-1.1%) 줄었지만 이자 비용을 포함한 비소비지출이 5.6% 늘면서 처분가능소득은 9만2000원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