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며 1만8000여명에 머물렀다.
통계청이 25일 내놓은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1만8984명으로 1년 전보다 2798명(-12.8%) 적었다. 2020년 11월에 전년 같은 달 대비 3673명(-15.5%) 감소한 이후 2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8월 기준으로 출생아 수가 2만명을 밑돈 것은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전년 동월 대비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6년 넘게 줄다가 지난해 9월 13명 늘었다. 그러나 이듬달부터 다시 11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은 지난해 8월보다 0.6명 적은 4.4명이다. 조출생률 도 8월 기준 역대 최저치다. 시도별로 출생아 수는 전북(+5명)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다.
8월 사망자 수는 3만540명으로 지난해 8월 대비 500명(1.7%) 많았다. 전년 동월 대비 사망자 수는 올해 5월(0.2%)부터 증가세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8월 인구는 1만1556명 자연감소했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46개월째 자연감소를 기록했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4610건으로 지난해 8월보다 1108건(-7.0%) 적었다. 전년 동월 대비 혼인 건수는 지난해 8월(6.8%)부터 증가세가 이어져 올해 1월(21.5%), 2월(16.6%), 3월(18.8%)에는 큰 폭으로 늘었다. 4월(-8.4%)에 줄었다가 5월(1.0%)과 6월(7.8%)에 다시 늘었다.
7월(-5.3%)과 8월에는 2개월 연속 감소했다. 통계청은 "코로나19 사태로 연기했던 혼인이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