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취업을 위한 공부도,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니트족'이 8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꼴로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보다 많아졌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분석 결과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하고도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1만8000명이었다. 이들 중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는 청년은 8만명으로 36.7%를 차지했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은 직업 훈련이나 취업시험 준비, 구직활동, 육아나 가사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집에서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다.
니트족 비중을 미취업 기간별로 보면 3년 이상일 경우가 가장 높았다.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3.9%였던 니트족 비중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7.3%로 상승했다. 다시 1년 이상∼2년 미만 19.2%, 2년 이상∼3년 미만 21.1%로 줄었다가 3년 이상일 때 36.7%로 크게 높아졌다.
학교를 졸업한 뒤 3년이 지나면 취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늘어난다는 의미다. 구직활동과 직업훈련, 취업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도서관․학원에 다니는 등의 취업을 위한 활동 비중을 보면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53.0%, 1∼2년 미만일 때 58.2% 로 50%대였다가 미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이 되면 36.5%로 뚝 떨어졌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가운데 니트족 비율은 상승하는 추세다. 니트족 비율은 5월 기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인 2018년 24.0%에서 2019년 24.7%, 2020년 25.5%로 20%대에 머물렀다. 하지만 2021년 34.7%로 대폭 상승한 뒤 지난해 37.4%로 더 높아졌다.
사람 수로 보면 장기 니트족은 2021년 9만6000명에서 지난해 8만4000명, 올해 8만명으로 줄었다. 그래도 2018년(5만4000명)과 2019년(6만4000명)보다는 많았다. 청년층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장기 니트족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웃도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