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 국제유가가 오른 여파로 수출 및 수입 제품 물가가 석 달 연속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17일 내놓은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9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 2015년 100 기준)는 139.67로 8월(135.68)보다 2.9% 상승했다.
전월 대비 수입물가지수는 지난 7월(0.2%) 상승세로 전환한 뒤 석 달 연속 올랐다. 다만 상승 폭은 8월(4.2%)보다 둔화했다.
수입 물가 중 원재료는 광산품(6.3%)을 중심으로 5.7% 올랐다. 중간재는 석탄·석유제품(7.9%), 화학제품(2.1%) 등이 오르며 2.0%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8월 대비 0.7%씩 올랐다.
세부 품목을 보면 원유(8.8%), 나프타(9.3%), 프로판가스(18.0%), 부타디엔(26.5%), 메탄올(8.1%), 플래시메모리(5.8%) 등의 상승 폭이 컸다. 국제유가는 8월 평균 86.46달러(두바이유·배럴당)에서 9월 93.25달러로 7.9% 올랐다.
한은은 "산유국들의 감산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광산품과 유류제품 등의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9월 수출물가지수는 119.56으로 8월(117.55)보다 1.7% 상승했다. 수출물가지수도 7월(0.1%)부터 석 달 연속 올랐는데, 상승 폭은 8월(4.2%)보다 축소됐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1.3% 하락했고, 공산품은 1.7% 올랐다. 공산품 중에는 국제유가 상승과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석탄·석유제품(5.7%)과 화학제품(2.8%)이 상승했다. 세부 품목을 보면 경유(5.8%), 제트유(6.0%), 자일렌(4.7%), 플래시메모리(5.0%) 등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