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1.7배·AI 성능 14.7배 올려…인간오감 모방반도체 비전 소개

삼성전자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최신 그래픽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탑재한 '엑시노스(Exynos) 2400'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5일(현지시간) 실리콘밸리 미주총괄본부에서 '삼성 시스템LSI 테크 데이 2023'을 열고 엑시노스 2400을 선보였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엑시노스 2400은 미국 반도체 기업 AMD의 최신 아키텍처인 RDNA3 기반의 '엑스클립스 940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탑재한 차세대 모바일 프로세서다. 전작(엑시노스 2200)에 비해 중앙처리장치(CPU) 성능은 1.7배, AI 성능은 14.7배 높였다.
삼성전자는 이 프로세서에 빛을 추적하는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빛의 반사효과와 그림자 경계를 현실 세계와 유사하게 표현하는 리플렉션·섀도 렌더링(Reflection·Shadow Rendering) 등 첨단 그래픽 기술을 탑재해 고성능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에게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2400을 차세대 스마트폰에 탑재해 문자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새로운 생성형 AI 기술도 선보였다. 2억 화소 이미지센서 기반 초고해상도 특수 줌 기술인 '줌 애니플레이스(Zoom Anyplace)'도 공개했다. 움직이는 사물을 풀스크린하고 최대 4배 클로즈업 장면까지 화질 저하 없이 동시에 촬영하는 기술이다. 클로즈업시 AI 기술이 사물을 자동 추적한다.
자동차 인포테이먼트용 프로세서인 엑시노스 오토·아이소셀 오토·아이소셀 비전 등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제품 기술도 시연됐다. 2025년 양산 예정인 차세대 프리미엄 인포테인먼트(IVI)용 프로세서인 '엑시노스 오토 V920' 구동 영상도 공개됐다.
삼성전자는 "그전보다 1.7배 강화된 CPU 성능과 최대 6개의 고화질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연결해 스마트하고 즐거운 모빌리티 경험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사람의 오감-미각·후각·청각·시각·촉각-중 현재 반도체가 구현하지 못하는 미각과 후각 역할을 하는 반도체 개발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테크 데이에서는 인간 수준에 가까운 기능을 구현하는 첨단 반도체를 개발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융합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날 테크 데이에서 박용인 시스템LSI사업부 사장은 인간의 오감을 모방한 센서 기반 반도체 '시스템LSI 휴머노이드' 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지난 1년의 성과와 함께 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 비전을 공유했다.
박용인 사장은 "생성형 AI는 올해 가장 중요한 기술 트렌드로 더 고도화된 기반 기술 확보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우리는 고성능 IP부터 장·단거리 통신 솔루션, '시스템LSI 휴머노이드'를 구현해나가며 생성형 AI에서 더 발전된 '선행적 AI' 시대를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