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빗방울 등 오염 제거하는 '로테이터캠' 첫 공개…완전 자율주행 기술 구현에 또 한걸음

현대자동차∙기아가 자율주행의 안전성을 높일수 있는 기술을 또 한 번 먼저 개발했다.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의 회전과 소형 와이퍼를 결합해 외부 이물질을 제거하는 '로테이터캠(Rotator-Cam)'이다.
자율주행 기술경쟁이 격화되고 있지만 센서에 묻은 조그마한 이물질 하나라도 치명적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번 카메라 이물질 제거 기술 개발은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의 주요 장애물을 넘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현대자동차∙기아는 자율주행 기능이 정교하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센서 클리닝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은 팝업 방식의 노즐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우천시에는 잔존 워셔액이나 누적된 빗방울이 렌즈 표면에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전동식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용해 오염을 물리적으로 닦아내는 방식은 우천시 물방울을 제거하는 성능은 우수하지만, 이 역시 와이퍼가 카메라 센서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센서 클리닝 기술은 자율주행 기술을 앞당기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다양한 편의기술 개발을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