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인상 불구 올 7조원 적자 전망…유가 불안정도 불안

지난해부터 잇따른 전기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전력의 빚이 사상 처음 200조원을 넘어섰다. 이런 추세라면 한전이 법정 한도에 걸려 한전채를 발행해 빚 돌려막기를 하는 것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
한전이 22일 내놓은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6월 말 연결 기준 한전의 총부채는 201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 200조원을 넘겼다. 이 같은 부채 규모는 국내 상장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다.
한전의 총부채는 지난해 말 192조8000억원에서 반년 새 8조원 정도 불어났다. 한전 부채는 2020년 말 132조5000억원 수준이었던 한전 부채는 2021년 말 145조8000억원, 2022년 말 192조8000억원으로 급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전기요금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아 2021년 이후 47조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을 본 것이 부채 급증의 주된 요인이다. 지난해부터 5차례 이어진 전기요금 인상과 올 들어 나타난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 덕분에 한전의 전기 판매 수익구조가 점차 정상화되는 추세이지만, 한전의 재무구조는 여전히 취약한 상태다.
증권사들의 실적 전망치(평균)를 보면 한전은 3분기에 1조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10개 분기 만에 적자를 탈출하겠지만, 4분기에는 다시 5000억원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연간으로는 7조원 정도 영업손실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전망이 현실화하면 한전은 내년 신규 한전채 발행 등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한전은 한국전력공사법에 따라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의 5배까지 한전채를 발행할 수 있다. 한전은 2022년 말 기준 자본금과 적립금 합계(20조9200억원)의 5배인 104조6000억원까지 한전채를 발행할 수 있다.
7월 말 기준 한전채 발행 잔액은 78조9000억이다. 올해 수조원대 추가 영업손실이 날 경우 내년 이뤄질 2023년 결산 후 한전채 발행 한도가 큰 폭으로 줄어들게 된다. 시장 전망대로 7조원의 추가 영업손실이 난다면 자본금과 적립금의 합이 14조원 수준으로 줄어 한전채 발행 한도는 70조원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는 현재 한전채 발행 잔액보다도 적기 때문에 내년 말 이후 추가로 한전채 발행을 하지 못해 운영자금 마련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한전은 현재 하루 평균 70억원, 한 달에 2000억원 정도를 이자로 지출하고 있다. 상반기 에 안정세를 보이던 국제 에너지 가격이 최근 다시 들썩이는 것도 하반기 이후 한전의 재무 구조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