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민간 아파트 293개 단지의 안전성을 검증·보완하기 위한 전수조사를 다음 주부터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9월말까지 진행될 전수조사 대상에는 주거동에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105개 단지가 포함되어 있다.
무량판 구조 주거동에는 이미 15만 세대가 거주하고 있고, 현재 공사 중인 무량판 주거동은 10만 세대 규모다. 조사 결과 철근 누락 등 부실시공이 발견될 경우 파장이 상당할 전망이다.
조사 대상은 2017년 이후 준공된 188개 단지와 현재 공사 중인 105개 단지다. 주거동에 무량판을 쓴 곳은 총 105개 단지로 확인됐다. 무량판을 주거동에만 적용한 곳이 74개 단지(시공 중 25개·준공 완료 49개), 주거동과 지하 주차장에 함께 무량판 구조를 쓴 단지는 31개(시공 중 21개·준공 완료 10개)다.
지하주차장에만 무량판을 적용한 단지는 184개로 시공 중인 단지가 59개, 준공된 단지는 125개다. 입주가 끝난 4개 단지는 주민공동시설 등 기타 건물을 무량판 구조로 지었다.
이미 입주한 세대의 내부 점검은 점검 때 페인트와 벽지 등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입주민 동의가 필요하다. 현재 공사 중인 사업장 105곳은 지정된 안전진단 전문기관을 통해 긴급 안전전검을 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은 공사비에 반영된 안전점검 비용으로 충당한다.
2017년 이전 준공된 188개 단지는 단지별로 안전진단 전문 기관을 지정한 뒤 점검한다. 소요 비용은 시공사가 부담한다.
점검 결과 부실시공이 발견되면 시공사 비용으로 보수 보강 공사를 해야 한다. 국토부는 안전에 대한 책임을 위반한 사항이 발견되면 등록 취소, 영업정지, 벌금 등으로 강력 처벌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