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중이거나 이미 주민이 입주한 곳도…정부, 이달 중 안전점검 구체 방안 확정

철근을 빼먹은 '순살 아파트'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전수조사를 하기로 한 민간 아파트 293개 단지에 지하 주차장뿐 아니라 주거동에 무량판 구조를 채택한 곳도 다수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1월 외벽이 붕괴한 광주 화정 아이파크 아파트는 주거동에 무량판 구조를 채택한 곳이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준공된 전국 민간 아파트 중 무량판 구조를 채택한 단지는 293개다. 이 중 105개 단지는 공사가 진행 중이고, 188개 단지는 주민이 입주를 마친 상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발주 아파트는 지하 주차장에만 수평 기둥인 보 없이 기둥이 직접 슬래브(콘크트 천정)를 지탱하는 무량판 구조를 사용했다. 철근 누락이 확인된 LH 아파트는 지하 주차장 상부에 주거동이 없기 때문에 주거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은 아니라고 정부는 밝혔다.
그러나 전수조사 대상인 민간 아파트는 지하 주차장은 물론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사용한 곳이 섞여 있다. 국토부는 8월 중 293개 아파트 단지 점검 일정과 방법을 밝힌 뒤 본격적인 점검에 들어갈 예정이다.
점검 결과가 나오면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월 공사 중 붕괴된 광주 화정동 아파트도 무량판 구조였다. 무량판 구조가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의 직접 원인은 아니었지만, 이 사고도 무량판을 적용한 인천 검단 신축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처럼 시공·감리 등 총체적인 부실이 요인으로 지적됐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