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앱 터치 몇 번으로 기존 신용대출을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 '온라인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이후 한 달 동안 약 6700억원이 이동했고, 대출 갈아타기는 주로 은행간에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10일 금융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5월 31일부터 6월 30일까지 22영업일 동안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총 2만6883건, 6684억원의 대출자산이 이동했다.
이동 유형을 보면 은행 간 대출 이동이 대부분이었다.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액수가 6161억원(2만2052건)으로 전체의 92%를 차지했다.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액수는 315억원(2352건)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2금융권에서 2금융권 169억원(2098건), 1금융권에서 2금융권 39억원(381건)이었다.
앞서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초기 10일간 고객들은 기존 거래 은행에서 하나은행(1497억원), 토스뱅크(885억원), 우리은행(762억원), 카카오뱅크(469억원) 순서로 많이 옮겼다.
같은 기간 전체 대환대출 이동 금액은 3844억원이었고,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옮긴 액수가 3636억원으로 95%를 차지했다.
한편 다른 금융권에로의 고객 유출을 우려해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에 소극적이었던 카드사들도 최근 속속 참여하면서 2금융권 대환대출 경쟁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앞서 신한카드(카카오페이·토스·핀다), KB국민카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가 대환대출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했고, 현대카드도 7월 6일 핀다에 입점했다. 롯데카드도 3분기 중 대환대출 플랫폼에 들어올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