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와 경희대, 해외 진출 기업의 협력과 관계자 교육 등 업무협약

대한상공회의소와 경희대학교가 지속 가능한 한식의 산업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해외에 진출하는 기업들의 협력 방안을 찾고 관계자 교육 등의 업무를 함께 한다.
대한상의는 6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경희대 H&T애널리틱스센터와 '민간 주도의 지속가능한 한식산업화'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국내외 시장조사와 분석, 민간 주도 한식산업화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관련 정책 및 정보 공유 등 분야에서 협력한다.
먼저 양 기관은 해외진출 기업 간 협력 방안과 기대효과 연구, 한식산업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등을 통해 한식산업화 실행 방안을 국가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앞서 대한상의는 지난해 경희대 H&T애널리틱스센터와 함께 한식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한식산업은 음식 관광 및 농식품 수출 효과만 연간 약 23조원에 이르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자동차 52만대를 판매하는 것과 맞먹는 규모다.
양 기관은 하반기에 민간이 주도하는 한식산업 거버넌스도 구축하기로 했다. 추진 기구는 식품제조 대기업, 해외 유통기업, 외식 프랜차이즈, 푸드테크 기업 등 한식 공급망 전반의 기업들과 학계 전문가, 투자사 등으로 구성한다. 이 거버넌스는 정부에 건의할 과제를 발굴하는 것을 비롯해 기업 간 협력, 교육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민간 플랫폼이 되는 것이 목표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