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인허가, 지역현안 해소 등 '원팀' 이뤄 국가산단 성공추진

글로벌 반도체 생산 설비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삼성전자 등이 힘을 모아 경기도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의 기반 조성 관련 사업기간을 2년 단축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7일 경기 용인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경기도, 용인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지자체 및 관계부처와 함께 '제3차 범정부 추진지원단 회의'를 열고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지원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용인시 남사읍 710만㎡(215만평) 부지에 300조원을 투자해 2042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기업체가 분양을 받아 입주하기 전 산업단지를 조성하는데 통상 7년이 소요된다.
정부는 이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기로 했다. 지자체,삼성 등과 원팀을 이뤄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인허가, 지역 현안 해소 등을 통해 사업기간을 단축할 방침이다. 이렇게 하면 통상 7년 걸리는 산업단지 조성 사업기간이 5년 정도로 단축될 전망이다. 이르면 2028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위한 기반공사가 끝나고, 기업들의 공장 건설 기간을 고려할 때 2030년이면 일부 공장이 가동될 수 있다.
국토부는 그린벨트와 농지 등 입지규제 사전 협의와 예비 타당성 조사 신속 통과를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산업부, 환경부와 함께 반도체산업의 핵심 인프라인 전력·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로 했다. 또한 경기도를 통해 시·군·구 협력을 끌어내는 등 정부와 지자체가 '원팀'을 이뤄 산업단지 조기 완공을 지원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 가동을 위해서는 2030년 말까지 0.4GW(기가와트)의 전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삼성전자가 5개 생산라인을 가동하는 2042년에는 7GW 이상의 전력이 소요된다.
산업용수도 2030년 말 가동을 위해서는 일 30만t을 시작으로 2042년까지 일 65만t 이상이 확보돼야 한다. 하루 평균 4만명 이상 인력이 출퇴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인접 도로망 확보 등 교통계획 수립도 긴요하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용인 국가산단이 속도감있게 추진되도록 시행자인 LH와 함께 예타 등 필요한 행정절차를 빈틈없이 하고, 지자체 및 삼성전자와 협업을 통해 산단계획 수립에서부터 기업의 수요를 반영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제3판교테크노밸리에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확보를 위한 팹리스 집적단지를 조성해 용인 국가산단의 성공적인 추진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