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6세 이상인 우리나라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이 4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빈곤율이란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은퇴 연령층 10명 중 4명은 우리나라 인구 전체를 연간 소득 순서로 세웠을 때 중간소득에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다.
통계청이 26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여름호에 따르면 2019년 6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집계됐다. OECD 회원국 중 상대적 빈곤율이 40%를 넘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했다. 특히 호주(2018년 기준·23.7%), 미국(23.0%), 일본(2018년 기준·20.0%)은 상대적 빈곤율이 20%대로 낮았다.
이런 가운데 고령자 10명 중 6명 이상은 생활비를 직접 마련했고, 그 비중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중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은 65.0%로 10년 전과 비교해 13.4%포인트 높아졌다.
정부·사회단체 지원도 17.2%로 같은 기간 8.1%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자녀 및 친척의 지원은 17.8%로 21.4%포인트 낮아졌다.
2021년 기준 노후 준비를 하고 있거나 이미 준비된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은 56.7%였다.
노후 준비를 하는 고령자의 준비 방법으로는 공적연금(59.6%)이 가장 많았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65세 이상 고령자는 43.3%였다. 준비하지 않은 사유로는 준비할 능력이 부족해서(59.1%)가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