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암 정복연구와 헬스케어 서비스에 쓰이도록
암 진단서 치료 및 사망까지의 암 환자 전주기 데이터 학계와 산업계에 문 활짝
암 진단서 치료 및 사망까지의 암 환자 전주기 데이터 학계와 산업계에 문 활짝

정부와 공공기관이 보유한 국내 암 환자 198만명의 빅데이터가 효과적인 암 정복 연구와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학계 및 산업계 연구자들에게 개방된다.
보건복지부는 K-CURE 포털(https://k-cure.mohw.go.kr/)을 통해 20일부터 암 공공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개방한다고 19일 밝혔다.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등록된 국내 암 환자 198만명의 빅데이터다.
암 진단 이전부터 치료 및 사망에 이르는 암 환자의 전 주기 데이터가 담겼다. 통계청의 사망 정보, 중앙암등록본부의 암 등록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격·검진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이용 청구정보 등이 결합됐다.
연구자들이 K-CURE 포털을 통해 연구계획서와 보안서약서를 포함한 서류들을 갖춰 신청하면 국립암센터가 연구 목적과 가명 처리의 적정성 등을 심의한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암 공공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폐쇄분석 공간인 안심활용센터 연계를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암 공공 라이브러리를 통해 연구자들은 여러 기관의 공공 데이터를 신청하고 결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게 됐다"며 "환자 개인정보를 철저히 보호하면서 암 환자의 예후 진단과 합병증 예측 등 심도 있는 암 정복 연구와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