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비수도권 대학과 중소 규모 대학을 중심으로 신입생 충원이 어려워지면서 2년 뒤 사립대의 운영 손실이 1685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15일 내놓은 '학생 미충원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손실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전국 4년제 사립대 156개교 가운데 53개교가 운영 손실을 볼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대학의 총 운영 손실 금액은 1684억5000만원으로 추정됐다.
대교협은 사립대 신입생 미충원 규모가 증가하면서 수업료, 국가장학금 등 학생 직접 수입이 줄어 운영 손실을 볼 학교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 35개교에서 594억2000만원의 운영 손실이 예상됐는데 2023년에는 38개교에서 873억3000만원으로 예상 운영 손실 규모가 커진다. 게다가 2024년에는 44개교에서 1231억2000만원의 운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 누적으로 운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립대는 총 41개교로 분석됐다. 이들 학교의 평균 손실률은 8.0%로 예상됐다.
지역·규모별로 보면 비수도권 소규모(재학생 5000명 미만) 사립대의 예상 운영 손실률이 20.4%로 가장 컸다. 그 다음이 수도권 소규모 사립대(8.7%), 비수도권 중규모(재학생 5000명 이상∼1만명 미만) 사립대(7.9%) 순서로 재정 상황이 어려울 것으로 파악됐다.
사립대의 향후 4년간 누적 예상 운영 손실금액을 2021년 임의 적립금, 미사용 차기 이월 자금을 투입해 보전할 수 있는지 분석한 결과 41개교 중 19개교에서 불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비수도권 소규모 사립대가 10곳, 비수도권 중규모 사립대 5곳, 수도권 소규모 사립대 4곳으로 중소 규모 대학의 어려움이 특히 심각할 것으로 파악됐다.
사립대의 재정 사정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저출산 여파로 학령인구가 줄면서 신입생 미충원 인원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국 4년제 사립대의 정원 내 신입생 미충원 규모는 1만507명이었다. 10년 전 2012년(4133명)의 2.5배였다.
그 중 비수도권대의 미충원 인원이 9613명으로 전체 미충원 인원의 91.5%에 달했다. 수도권대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한 인원은 894명이었다.
전체 사립대의 모집 인원 대비 입학생 비율인 충원율은 2012년 98.5%에서 2022년 95.7%로 10년 사이 2.8%포인트 하락했다. 그 중 비수도권 중규모 사립대(91.5%)가 8.2%포인트, 수도권 소규모 사립대(91.7%)는 6.9%포인트, 비수도권 소규모 사립대(84.9%)는 4.6%포인트로 비수도권 지역의 충원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