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O산하에 독자 개발 본부급 4개 조직두고 필요에 따라 '헤쳐 모여'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전기차 생산과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에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12일 연구개발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연구개발 부문을 총괄하는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에 ▲신차 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TVD(Total Vehicle Development) 본부 ▲차량 소프트웨어(SW) 담당 ▲차세대 혁신제품 개발을 주도하는 META(Mobility Engineering & Tech Acceleration) 담당 ▲배터리, 로보틱스, 수소연료전지, 상용 등 독립형 개발조직·디자인센터 부문을 독자적 개발 체계를 갖춘 본부급 조직으로 재편했다.
새로운 연구개발 체제에서는 이들 본부·담당·센터가 독립적으로 기능한다. 협업이 필요할 때는 모였다가 흩어지는 등 스타트업처럼 유연하게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급변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개발 부문을 총괄하는 CTO에는 기존 연구개발본부장 김용화 부사장이 사장 승진과 함께 임명됐다. 김용화 사장은 차량 SW 담당을 겸직한다. 제품통합 개발 담당이던 양희원 부사장은 TVD 본부장으로 임명됐다.
신차 개발 조직이 모여 본부급으로 격상된 TVD 본부는 산하에 '제네시스 개발담당', 다목적 차량 및 소형차 개발을 위한 '차량개발 1담당', 중대형 차량을 개발하는 '차량개발 2담당'을 두고 브랜드와 플랫폼 단위로 효율적 신차 개발이 이뤄지도록 했다.
전기차 개발 및 양산 역량을 강화하는 쪽으로 조직 개편도 이뤄졌다. 전동화 설계센터와 전동화 시험센터 등 전동화 개발 조직, 전비와 전기차 안전 등 연구조직을 본부 직속으로 두고 의사결정과 기술개발 속도를 높이도록 했다.
기존 전자개발센터와 인포테인먼트 개발센터로 구성됐던 차량 SW 담당 산하에는 자율주행사업부·차량제어 개발센터·디지털 엔지니어링센터를 추가했다. 이를 통해 SW 담당 조직이 차량 SW 담당 아래 하나로 모여 관련 조직 간 유기적 협업과 인적·물적 자원의 집중이 가능해져 현대차그룹의 SDV 전략을 이끄는 핵심 축으로 작동한다.
META 담당은 그동안 분산됐던 전동화, 샤시, 차체(보디) 분야 선행 신기술과 기본 성능 육성 조직을 통합해 모빌리티 기술센터·차량성능 기술센터·차량 아키텍처(구조) 개발센터·기초소재 연구센터로 구성했다.
배터리, 로보틱스, 수소연료전지, 상용 등 승용 완성차를 제외한 사업 및 디자인센터는 독립 연구개발 체제를 유지하며 CTO 직속으로 편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