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빅테크의 공세에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국민 포털'인 네이버의 입지가 흔들리는 모습이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카카오의 카톡 MAU(월간 실사용자 수)는 4145만8675명으로 1위였다. MAU는 한 달에 최소 1차례 서비스를 쓴 사람 수다.
2위인 유튜브의 MAU는 4095만1188명. 카톡과의 MAU차이는 50만7487명으로 좁혀졌다. 2020년 5월 모바일인덱스에서 스마트폰 양대 운영 체제인 안드로이드와 iOS를 통합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 카톡이 3년간 지켜온 국내 플랫폼 MAU 1위 자리를 내줄 수도 있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그동안 새로운 플랫폼이 잇따라 생기면서 카톡과 유튜브 모두 MAU가 줄었다. 이런 판에 카톡 사용자의 이탈 속도가 유튜브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5월 기준 두 플랫폼의 MAU 차이는 2020년 298만7225명, 2021년 227만2538명, 2022년 153만494명에 이어 올해 50만여명으로 급감했다.
두 플랫폼의 MAU 차이는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세다. 12월 144만3000명에서 1월 125만7165명, 2월 119만6698명, 3월 84만1176명, 4월 79만6053명에 이어 5월에 50만7487명으로 줄었다.
업계는 이런 감소세가 이어지면 하반기 중 유튜브가 카톡의 MAU를 추월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유튜브가 카톡을 제치고 1위에 오르면 외국 플랫폼이 처음으로 국내 월간 MAU 집계에서 국내 플랫폼을 앞서게 된다.
유튜브는 월간 총사용 시간과 활성 기기 지표에서 이미 카톡을 앞질렀다. 5월 기준 총사용 시간은 유튜브(15억2223만4643시간)가 카톡(5억3654만5507시간)보다 3배 가까이 많았다.
활성 기기 대수는 유튜브(4189만269대), 지메일(4186만5183대), 구글(4170만1132대), 크롬(4169만7819대), 구글 지도(4151만32대)에 이어 카톡(4036만6370대)과 네이버(3947만2560대) 순서였다.
유튜브는 영상 플랫폼뿐만 아니라 국내 최대 음원 플랫폼인 카카오의 멜론을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다. 2020년 5월 멜론의 국내 MAU 점유율은 31.6%(1위)로 유튜브(15.9%·3위)의 약 2배였다.
그런데 지난 5월 점유율은 1위인 멜론이 29.1%, 2위인 유튜브가 24.3%로 차이가 4.8%포인트로 좁혀졌다. 이는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세대)를 중심으로 영상과 이미지 등 시각 정보가 풍부한 플랫폼을 선호하는 쪽으로 소비행태가 변화한 결과로 분석된다.
모바일 앱 시장뿐만 아니라 웹 기반의 검색엔진 시장에서도 네이버의 점유율이 지난 2월부터 60% 아래로 내려가며 4개월째 하락했다. 국내 5000만 MAU 웹사이트 행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된 인터넷 트렌드 통계에 따르면 웹 MAU 1위 네이버의 점유율은 올해 1월 64.5%에서 2월 59.6%, 3월 57.3%, 4월 55.9%, 5월 55.7%로 떨어졌다.
반면 2위 구글의 점유율은 2월에 30.0%로 올라선 데 이어 3월 32.3%, 4월 34.0%, 5월 34.8%로 상승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