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민간이 자동차부품 산업에 14조3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한다. 미래차 핵심 기술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 자동차부품 수출 확대, 글로벌 공급망 진입에도 정부와 완성차업체, 유관기관이 적극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자동차부품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미래차 전환 및 수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자동차부품 업계 지원대책으로 ▲14조3000억원의 자금 지원 및 일감 확보 ▲핵심기술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 및 미래차 부품 특별법 제정 ▲자동차부품 수출 확대 등 3대 과제를 제시했다.
자금 지원과 일감 확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 확대하는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2대 주력 시장과 중동, 중국·일본, 아세안 등 3대 유망시장에 대한 자동차부품 수출을 확대한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올해 자동차산업 수출액이 사상 최고치인 8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했다. 이 같은 정부의 지원 대책은 지난 3월 월간 국내 자동차 생산이 6년 만에 40만대를 돌파하고, 올해 1∼4월 완성차와 부품을 포함한 자동차 수출액이 역대 최고인 309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자동차산업 업황이 호조세를 보인 가운데 나왔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전동화, 지능화, 자율주행으로 대표되는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모빌리티 혁명의 출발점인 자동차부품 업계의 대응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부품기업 지원을 위한 완성차 제조사 상생 선언 및 8개 유관기관 합동 업무협약(MOU) 체결식도 열렸다. 현대자동차, 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자동차, KG모빌리티 등 국내 5개 완성차 제조사는 부품 협력사의 유동성 확보 지원, 공동 기술개발 등 부품업계와의 상생협력을 강화할 것을 공동으로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