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퓨팅 등 3축 인프라 확충… 사업자 등록번호 공개도 추진

챗GPT로 상징되는 초거대 생성형 인공지능(AI) 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민간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초거대 AI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의료, 법률, 상담 등 분야의 AI 응용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또한 2026년까지 AI 생태계 핵심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1만개를 육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주관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초거대 AI 활용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고 보고, 전문(도메인) 분야 AI에서 세계 1위, 한국어 사용 초거대 AI 플랫폼 세계 1위를 목표로 비영어권 중심 세계시장 공략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선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퓨팅 자원을 주축으로 한 핵심 인프라 확충에 나선다. GPT 시리즈 등 해외 생성형 AI에 맞서 전문 분야에서 AI 경쟁력을 확보한다.
내년부터 시작하는 'AI 5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법률 의견서나 진료 소견서 작성 지원, 학술 연구에 참고문헌·통계 등 제시,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등 분야에서 응용 AI 서비스를 육성한다.
단순·반복 작업 중심이었던 데이터 라벨링(이름 붙이기) 중심의 AI 학습용 데이터 정책을 초거대 AI 학습용 핵심 데이터 구축으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양질의 대규모 텍스트 200종을 확보하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책 15만권 분량에 해당한다.
AI 산업 발전의 핵심인 고품질 데이터를 획득-품질관리-활용-재생산하는 데이터 경제 생태계를 목표로 교통, 안전, 에너지, 도시 등 4대 중점 분야가 연결되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다. 이후 단계적으로 의료, 환경, 행정 등 전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국민과 기업 수요는 많지만 공개하지 않던 사업자 등록번호, 자동차 등록정보 등 핵심 데이터도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개방한다. 최신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고 거짓 답변도 내놓는 초거대 생성 AI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학습능력을 높이고 신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AI 기초 연구를 추진한다.
올 초 시동을 건 신경망처리장치(NPU) 팜 실증 사업과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처리 가속기 등의 컴퓨팅 인프라도 강화한다. AI 전문인력을 늘리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AI 대학원 등에서 석․박사 등 정규과정 인재 6만5000명을 양성하고 일반 국민 100만명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활용 방법을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