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분기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보류된 가운데 올해 가구당 가스·전기 소비 지출액 증가율의 최소 예상치가 지난해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5일 내놓은 '동절기 난방비 급등 사태 진단과 대응 방향 이슈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연평균 지출액(기본료·부가가치세 제외)은 지난해 대비 22.9∼30.4% 많을 것으로 예측됐다. 올해 가구당 월별 도시가스 사용량이 지난해와 같다는 가정 아래 요금 동결과 4월 한 차례 MJ(메가줄)당 2.6원 오른다는 두 개 시나리오로 나눠 산출한 것이다.
올해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이 현 수준(MJ당 19.7원)으로 유지될 경우 도시가스 연평균 지출액은 지난해 40만5000원에서 올해 50만4000원으로 22.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가스 도매요금이 주택용 기준으로 네 차례(4·5·7·10월)에 걸쳐 MJ당 5.47원(38.4%) 오른 영향이다.
4월에 도시가스 요금이 MJ당 2.6원 오른 뒤 추가 인상이 없다면 올해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지출액은 같은 기간 40만5000원에서 53만4000원으로 30.4%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올해 가구당 전기 소비 지출액(부가세·전력기반기금 제외)은 지난해 대비 17.5∼23.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가구당 월별 전기 사용량이 지난해와 같다는 전제에서 2분기부터 4분기까지 추가 인상이 없을 경우 가구당 전기 소비 지출액은 지난해 33만4000원에서 올해 39만2000원으로 17.5% 증가한다. 전기료가 지난해 세 차례(4·7·10월)에 걸쳐 kWh(킬로와트시)당 19.3원(21.1%) 오른 데 이어 올해 1월 kWh당 13.1원 인상됐기 때문이다.
전기요금이 올해 7월 추가로 kWh당 13.1원 오른다면 가구당 평균 지출액은 같은 기간 33만4000원에서 41만2000원으로 23.5% 늘어난다.
이처럼 지난해 가구당 가스와 전기 소비 지출액 증가율인 14.8%, 9.7%보다도 올해 최소로 예상되는 지출액 증가율이 더 높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연료비가 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1분기 기준 20% 안팎)이 큰 소득 1분위 가구에 대한 지원이 우선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등유, 프로판 등 상대적으로 비싼 연료를 사용하는 취약층 가구에 대한 차등 지원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난방용 에너지 지원을 강화하되 취약계층별로 지원 범위·수준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