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관련이 없는 모빌리티 앱끼리 데이터 송수신 할수있게 중개

카카오모빌리티가 영국 모빌리티 중개 플랫폼 '스플리트'를 인수하고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는 2017년 카카오에서 분사한 카카오모빌리티의 첫 해외 기업 인수 사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스플리트를 인수해 해외에 직접 진출한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인수가액과 지분율 등 인수 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스플리트는 앞서 소프트뱅크, 그랩 등으로부터 초기 투자를 받았다.
스플리트는 모빌리티 분야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기업이다. 서로 관련이 없는 모빌리티 앱끼리 데이터 송수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중개한다. 이를 통하면 이용자가 일일이 개별 앱을 내려받지 않아도 한 앱으로 다른 서비스를 쓸 수 있다. 베트남에서 카카오T 앱만으로 현지 앱 '그랩'의 택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9년 스플리트와 함께 택시 '로밍(연동)' 서비스를 운영했다.
스플리트 서비스를 활용하면 특정 지역 내에서 사업을 키운 앱이 다른 지역의 별도 앱과 연계해 영향력을 키울 수 있다. 우버, 그랩, 캐비파이, 카림, 트립닷컴, 부킹닷컴, 알리페이, 위챗, 바이낸스 등이 스플리트를 쓴다.
스플리트는 위챗과 알리페이, 트립닷컴 등 중국 내 주요 슈퍼 앱과 협업하고 있어 코로나19 봉쇄 완화에 따른 경제활동 재개 이후 중국 이용자들의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나면서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스플리트가 파트너십을 통해 연결한 앱 서비스 이용자들은 150여개국 20억명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스플리트가 다져온 유럽 현지 택시업계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은 물론 중국의 해외여행 수요에도 대응하는 등 광범위한 규모로 다양한 형태의 해외 진출을 시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