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값 상승에 따른 담보대출 급증14년만에 최대 증가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여파로 미국의 가계부채 규모가 지난해 1년 사이 1조달러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CNN 방송 등 외신들의 8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은 이날 발표한 '가계부채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기준 미국의 가계부채가 15조5800억달러(약 1경8672조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내 가구당 평균 15만6000달러(약 1억8673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뉴욕 연은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치다.
지난해 연간 가계부채 증가액은 1조200억달러(약 1222조원)로 1조600억달러(약 1270조원)가 늘었던 2007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전반적인 물가 상승세(인플레이션), 특히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급증이 가계부채 총액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전체 가계부채의 70.2%(10조9300억달러, 약 1경3083조원)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2021년에만 8900억달러(약 1065조원)가 늘었다. CNN비즈니스는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 보고서를 인용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미국 주택가격이 평균 30% 상승했고, 지난해에만 약 20% 급등했다고 보도했다.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난에 따른 생산 부족으로 자동차 가격이 상승한 것도 가계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자동차 관련 가계부채는 전년 대비 900억달러(약 108조원) 늘어난 총 1조4600억달러(약 1748조원)로 집계됐다. 특히, 자동차 구매를 위해 발생한 신규 대출액은 7340억달러(약 879조원)로 집계 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뉴욕 연은은 "미국 내 신차 가격이 11.8% 상승했고, 중고차 가격이 무려 37.3% 급등하며 자동차 할부금융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