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코로나 터널속 뜻밖의 집콕 수요로 반도체·가전 쌍끌이 선전
슈퍼 호황기 실적에 버금 … 이익규모 35조원 넘어선 것은 네 번째
4분기만 영업익 9조470억원 … 환율하락에 반도체 이익 4조원대
슈퍼 호황기 실적에 버금 … 이익규모 35조원 넘어선 것은 네 번째
4분기만 영업익 9조470억원 … 환율하락에 반도체 이익 4조원대

삼성전자가 지난해 36조원에 육박한 역대 네 번째로 많은 영업이익을 냈다. 미중 무역갈등과 코로나19 사태 와중에도 230조원을 넘어서는 매출을 올리면서 반도체 슈퍼 호황기에 버금가는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연결 기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영업이익이 35조9939억원으로 전년 대비 29.62%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간 영업이익이 35조원을 넘어선 것은 2013년과 2017년, 2018년 이후 네 번째다. 매출은 총 236조8070억원(전년 대비 2.78% 증가)으로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예년보다 부진한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3분기 들어 펜트업(pent up·억눌린) 수요가 폭발하고, 비대면(언택트)·집콕 수요가 급증하면서 주력인 반도체와 스마트폰은 물론 가전 부문까지 선전했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영업이익 9조470억원, 매출 61조5515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 동기 대비 각각 26.35%, 2.78%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반도체 부문이 매출 18조1800억원, 영업이익 3조85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반도체 시황은 전반적으로 양호했다. 그런데 4분기 들어 서버용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약세를 보였고,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강세로 3분기(5조5400억원)보다 영업이익이 1조7천억원 정도 줄면서 4분기 영업이익이 4조원에 미달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