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소비자의 자동차 수요가 대형화 개성화 경향을 보이며 지난해 팔린 승용차 2대 중 1대꼴로 레저용 차량(RV)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차와 소형차 판매는 5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국내 승용차 시장의 차급별 수요 변화를 분석한 결과 레저용차량(RV) 비중이 2015년 41.4%에서 지난해 52.3%로 늘어난 반면 세단 판매 비중은 58.6%에서 47.7%로 줄어들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해외 시장에서도 RV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RV 비중은 2015년 56.8%에서 지난해 76.5%로 급증한 반면 세단 비중은 43.2%에서 23.5%로 감소했다. EU 지역에서도 RV 비중이 2015년 33.3%에서 2019년 45.5%로 늘어났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RV 차량 비중 급증은 도심형·다목적형 소형 SUV의 급성장세와 함께 '차박(자동차+숙박)' 열풍 속 여유로운 공간을 갖춘 대형 SUV 수요 증가와 싼타페와 쏘렌토 등 중형 SUV 인기 지속이 어우러진 결과로 분석된다.
세단 판매는 대형차 비중이 늘어난 반면 경차와 소형차 비중은 감소했다. 대형 세단 비중은 2015년 14.0%에서 지난해 19.8%로 5.8%포인트 높아졌다. 현대차 그랜저가 4년 연속 국내 판매 1위를 기록하며 국내 시장 누적 판매 200만대를 넘어선 데다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의 출시 효과가 더해지며 판매 비중이 높아졌다.
이와 달리 경차와 소형차 비중은 지난해 15.7%로 2015년(28.8%) 대비 13.1%포인트 낮아졌다. 중형차도 12.3%로 2015년(15.8%)보다 3.5%포인트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