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가 도입된 개정 임대차보호법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더 올랐다. 전세 계약기간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4년(2년+2년)으로 늘어나고, 계약갱신 시 보증금 인상률이 5%로 제한되자 집주인들이 신규 계약 때 보증금을 최대한 올려 받으려 들면서 전셋값이 뛰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거주 요건 강화와 저금리 등 영향으로 전세 물건도 품귀를 빚어 전셋값이 좀처럼 진정되지 않는 분위기다.
한국감정원이 6일 발표한 8월 첫주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7%로 집계됐다. 지난주(0.14%)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주간 기준으로 지난해 12월 30일(0.19%) 이후 7개월 여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고가 전세가 많은 강남 4구가 서울 전체의 전셋값 상승세를 주도했다. 강동구(0.31%)는 지난주(0.28%)에 이어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크게 올랐다. 지난주 상승률이 각각 0.24%, 0.22%였던 강남구와 송파구는 이번 주에도 0.30% 올라 상승폭을 키웠다. 서초구도 지난주 0.18%에서 이번주 0.28%로 오름폭이 커졌다.
송파구 잠실리센츠 전용 59.9㎡는 지난달 31일 보증금 8억5천만원(20층)에 전세 계약이 이뤄지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에선 전세 매물을 찾기 어렵다. 정부가 6·17 대책을 통해 재건축 조합원이 분양권을 받는 조건으로 2년간 실거주를 의무화하자 전세를 내놓았던 집에 직접 들어오거나, 전입신고만 하고 집을 비워두는 집주인이 나타나고 있다.
전세의 월세 전환도 많아졌다. 임대차 3법 시행으로 4년 안에 전셋값을 올리기 어려워졌고 보유세 등 세금 부담이 늘어 전세를 월세로 돌리겠다는 집주인들이 늘고 있다.
동작구(0.27%)와 성동구(0.23%), 마포구(0.20%) 등에서도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졌다. 동작구는 흑석·노량진동 위주로 오르며 지난주(0.19%)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성동구는 역세권과 학군 수요가 있는 행당·하왕십리동 등이 올라 지난주(0.21%)보다 더 올랐다. 마포구는 가격 수준이 낮은 중소형 위주로 오르며 지난주 대비 보합세을 나타냈다.
성북구(0.14%)와 광진구(0.13%), 동대문구(0.10%)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 25개구 중 전셋값이 내린 곳은 한곳도 없었다. 이로써 서울의 전셋값은 58주 연속 상승했다.
경기도 전셋값도 0.29% 상승해 2015년 4월 20일(0.35%) 이후 5년4개월여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수원시 권선구(0.66%), 용인시 기흥구(0.64%), 구리시(0.62%) 등의 오름폭이 컸다.
인천(0.05%)은 부평구(0.17%)와 계양구(0.08%)에서 오른 가운데 연수구(-0.07%)는 송도신도시 입주 물량의 영향으로 내렸다.
지방 전체적으로 보면 전셋값 상승률은 0.18%로 지난주(0.15%)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주 0.04%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감정원은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와 취득세율을 인상한 7·10 대책 후속 법안이 빠르게 처리되면서 매매시장은 안정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고가 주택이 밀집한 강남 4구는 모두 0.02% 올라 지난주와 상승률이 같았고 동대문구(0.05%), 중랑구(0.05%), 강북구(0.05%), 도봉구(0.04%), 노원구(0.04%) 위주로 올랐다.
평당 700만원대 파격가 공급 / 2430세대 프리미엄 대단지
학세권(단지내 초등학교 건립예정) / 숲세권 / 공세권 / 역세권(화성시청역)
26평,30평,33평 선호도 높은 중소형 평형대로 구성
청약통장 무관 / 전매 무제한 / 최근 부동산규제 반사이익 최적 사업지
중도금 60% 무이자 / 발코니 확장비 무상
사업지 인근 대규모산업단지 조성(화성바이오밸리/에코팜랜드/송산그린시티)
서해안 복선전철 화성시청역 2022년 개통예정(여의도까지 30분정도 소요)
수도권 제2외곽고속도로 송산~봉담 구간 2021년 개통예정
그외 다수의 교통호재로 향후 시세차익 최소 2억이상!!!
분양문의 : 1661-7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