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임대 4천가구 공급 사업시행안 인가

서울 강남의 대표적 판자촌 마을인 개포동 ‘구룡마을’ 개발계획이 오는 11일 서울시로부터 사업인가를 받아 개발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당초 임대주택과 일반분양을 혼합해 총 2800여 가구를 지을 계획이었던 사업계획이 ‘100% 임대타운’으로 바뀌고 총 4000여 가구의 대단지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강남구 개포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실시계획을 오는 11일 인가해 고시한다고 7일 밝혔다. 2016년 12월 구역지정 이후 약 4년 만이다. 서울시는 앞으로 토지보상 등을 거쳐 2022년 착공, 2025년 하반기까지 입주를 완료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용지보상비 4344억원, 건축비 3205억원 등 총 1조3957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원주민 전원 재정착'과 '로또 분양 방지'를 구룡마을 개발계획의 원칙으로 삼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구룡마을 거주민의 재정착을 돕기 위해 짓는 임대주택 1107가구와 일반분양분 1731가구 중 일반분양분은 모두 임대로 전환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기존에 계획했던 일반분양분 중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전용 40㎡이하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면 물량이 두 배 정도로 늘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철거민 촌락으로 형성된 구룡마을에는 현재 1100여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서울시는 "원주민이 부담하는 임대료는 파격적으로 인하해 100% 재정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이 따라 모든 가구를 분양 없이 임대로 운영, 분양차익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자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는 사업시행자인 SH공사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단지 개발의 최적 대안을 모색해나가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곳에 초등학교 1개소와 의료연구단지, 공공 복합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공원, 주차장 등 기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주민 소통에 필요한 마을카페, 도서관, 주민체육시설 등 다양한 공동시설을 설치해 주민 커뮤니티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시행자의 사업이익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현지에 재투자해 단지 내 공동작업장, 공동식당 등 일자리 필요공간을 계획하고, 주민의 고용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해온 거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과 현지 재정착 기회를 제공하는 도시개발사업 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