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硏조사…'불안정한 일자리'(27.6%), '독신의 여유로움'(26.2%)順

미혼 남녀 간에 결혼하지 않거나 미루는 이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5일 내놓은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응 국민인식 및 욕구 심층조사 체계 운영' 정책 현안 보고서(책임연구원 김은정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미혼자의 31%는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않는 이유로 ‘주거 불안정’을 꼽았다.
이어 '불안정한 일자리'(27.6%),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26.2%), '적절한 결혼 상대 부재'(8.1%), '바쁜 업무'(4.9%) 등의 이유였다. 이는 19∼49세 미혼자 9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
남녀 성별에 따라 결혼하지 않거나 미루는 이유에 차이를 보였다. 미혼 여성은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31.0%)을 첫손에 꼽은데 비해 미혼 남성은 '주거 불안정'이 35.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두 번째 이유로 미혼 남성이 '불안정한 일자리'(28.8%)를 꼽은 반면 미혼여성의 사유는 '불안정한 일자리'(25.9%)와 '주거 불안정'(25.5%)이 비슷했다.
학력에 따라서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고졸 이하의 경우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이 31.5%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불안정한 일자리'(28.3%)였다. 대졸의 경우는 '주거 불안정'(32.7%)이 가장 높고, 이어 '불안정한 일자리'(28.0%)로 나왔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