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사태 장기화로 중국 원격 처리 여러 시장 커져 한국 기업에 새 기회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올해 중국의 원격근무 시장이 지난해의 두 배로 늘어나면서 중국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에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과거 온라인쇼핑 등 소비자 대상(B2C)으로 시작된 언택트(비대면) 산업이 기업 간 거래(B2B)를 비롯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각종 무인 서비스, 홈 엔터테인먼트 등 분야까지 일상화할 변화에 올라타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무역협회 중국 베이징지부가 15일 내놓은 '코로나19로 주목받는 중국의 언택트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방역 기간 재택근무가 늘면서 올해 관련 시장 규모가 449억위안(약 7조7335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2018년 117억위안의 3.8배, 지난해 추정치 229억위안보다 2배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원격근무 이용률은 2018년 0.6%로 미국 18.9%, 영국 12.8%에 크게 못 미쳤다. 그런데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 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원격근무, 온라인교육, 원격진료,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등 비대면 기반 언택트 산업 수요가 늘면서 유망 분야로 떠올랐다.
지난 3월 알리바바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딩톡(釘釘)은 하루 최대 1억명 이상이 2천만건의 화상회의를 이용하는 등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1천명의 근로자를 추가 모집한다고 발표했다.
또 중국의 설인 춘제(春節) 연휴 이후 학교 개학이 연기되고 학원들이 문을 닫으면서 온라인 교육서비스가 오프라인을 대체하고 있다. 중국 최대 교육서비스 기업 신동방은 1월 말부터 모든 강의를 온라인으로 전환해 97만명 이상이 온라인 수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원격진료도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올해 춘제 기간 중국 주요 온라인 의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진료를 받은 이용자는 하루 최대 671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의 원격의료 시장 규모는 190억위안으로 2015년 대비 이미 4배 이상 증가했다.
야채·수산물 등 오프라인 매장 구매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던 신선식품의 온라인 구매도 크게 늘고 있다. 보고서는 "텐센트, 징둥닷컴, 알라바바 등 주요 플랫폼을 중심으로 춘제 연휴 매출이 예년보다 3∼4배 늘어나는 등 외식과 오프라인 매장 쇼핑을 점차 대체하는 추세"라며 "이런 경향이 앞으로도 지속할 것으로 보여 한국 기업은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현지 시장에 참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