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외환시장 불안정'에 긴급처방전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외화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19일부터 은행의 선물환 포지션 한도가 확대된다. 국내은행의 선물환 포지션 한도는 40%에서 50%로, 외국은행 지점은 200%에서 250%로 높아진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은행에 대한 선물환 포지션 규제 한도를 25% 상향 조정할 방침"이라며 "이번 조치가 외화자금 유입 확대를 유도함으로써 외환 스와프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7.5원 급등한 달러당 1243.5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같은 원․달러 환율은 10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이 대거 주식을 매매한 뒤 매각대금을 달러로 바꾸려는 수요가 늘어나 환율이 급등했이다.
정부가 국내 외화유동성을 점검한 결과 국내은행 외화 유동성커버리지(LCR) 비율은 2월 말 128.3%로 규제 비율(80%)을 크게 넘어서는 등 양호한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 외환스와프 시장의 경우 외국인 주식자금 관련 수요 등으로 일시적인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 변동성이 커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외화유동성 공급 확대를 통해 스와프시장의 수급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해 은행 선물환 포지션 한도를 25% 확대하기로 했다. 19일부터 국내은행의 선물환 포지션 한도는 현행 40%에서 50%로, 외은지점 한도는 200%에서 250%로 각각 확대된다.
선물환 포지션 한도는 급격한 자본 유입과 단기 차입을 억제하기 위해 선물외화자산에서 선물외화부채를 뺀 선물환 포지션의 자기자본 대비 상한을 설정한 것으로 2010년 10월 도입됐다.
정부는 선물환 포지션 한도 확대를 통해 은행들의 외화자금 공급 여력이 확대되는 만큼 현재 선물환 포지션이 높은 은행들을 중심으로 외화자금 공급이 일부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한국은행·금융감독원 등과 함께 금융기관의 외화유동성 상황과 외환스와프 시장 동향, 해외자금 조달 여건 등을 매일 점검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