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만에 0.6포인트 내려… " 지역사회 감염으로 소비 급감“

국제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5일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1%로 낮아질 것으로 수정 전망했다. S&P는 지난달 19일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6%로 하향 조정했었다. 불과보름만에 성장률 전망을 0.5%포인트나 낮춘 것이다.
S&P는 이날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코로나19 관련 보고서에서 "한국은 자국 내 지역사회 감염으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시민들은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외활동을 자제하고 있으며, 이는 재량적 소비지출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S&P는 재량적 소비가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하며 이 같은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했다.
S&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4.0%로 둔화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2110억달러(약 2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S&P는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4.8%, 일본 성장률은 -0.4%로 전망했다.
숀 로치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한국과 일본의 가계 소비는 더욱 위축하고 미국과 유럽의 경기둔화로 대외 환경도 악화할 것"이라며 "중국은 바이러스 재확산 우려로 업무 재개가 신속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성장률 전망 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