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여파 등 6년 연속 당기순손실 기록

두산중공업이 5년 여만에 다시 명예퇴직을 통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을 한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글로벌 발전시장 침체에 따른 실적 악화 탓이다.
두산중공업은 18일 기술직과 사무직을 포함한 만 45세(1975년생)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명예퇴직을 한다고 밝혔다. 오는 20일부터 3월 4일까지 2주간 명예퇴직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인원은 정해지지 않았으며 신청기간이 지나야 규모를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선 규모가 1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본다. 전체 정규직 직원 6천여명 가운데 만 45세 이상 대상자는 2600명 정도로 알려졌다.
명예퇴직자는 법정 퇴직금 외에 근속연수에 따라 최대 24개월치 월급을 받는다. 20년차 이상은 위로금 5천만원을 추가로 받는다. 이 밖에 최대 4년간 자녀 학자금, 경조사, 건강검진도 지원된다.
두산중공업의 구조조정은 2014년 말 이후 5년여 만이다. 당시 두산중공업은 창원 본사와 서울사무소에서 근무하는 52세 이상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해 약 절반인 200여명이 회사를 떠났다.
두산중공업은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명예퇴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발전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국내외 발전사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석탄화력 발전을 축소하는 흐름이 나타나면서 세계적으로 발주가 감소하고 GE와 지멘스 등 세계적 업체들도 구조조정에 나섰다.
두산중공업은 2014년 이래 6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도 매출액은 15조6597억원, 영업이익 1조769억원으로 전년보다 6.1%와 7.3% 증가했지만 당기순이익은 1043억원의 적자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