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 폐렴' 번지며 경기위축 적신호
가계와 기업 등 민간부문의 수요를 뜻하는 민간지출이 역대 최장인 6분기 연속 감소했다. 26일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지난해 4분기 민간소비와 민간투자(총고정자본형성)의 합(민간지출)은 341조159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2% 줄었다. 민간지출은 2018년 3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6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2018년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던 민간지출은 3분기에 -1.2%로 돌아선 이래 지난해 4분기까지 내리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공표된 2000년 이래 역대 최장이다.
민간지출은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4분기 연속 감소하는 데 그쳤다. 현 경제상황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의미다.
이와 달리 정부부문의 소비와 투자를 더한 정부지출은 2011년 3분기 이후 지난해 말까지 계속 증가했다. 증가율도 지난해 1분기 4.2%에서 2분기 7.9%, 3분기와 4분기 각각 9.0%로 높아졌다.
올해도 정부 예산은 전년보다 9.1% 급증한 512조3천억원으로 책정돼 정부지출 증가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정부지출이 전체 경제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대 정도로 적어 민간지출이 회복되지 않는 한 정부가 기대하는 '급속한 경기회복'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연초부터 ‘우한 폐렴’이 번져 심각한 경기위축이 우려돼 수출 반등을 기대하던 정부를 당혹케 하고 있다. 중국 경제는 앞서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발병 때도 경기가 급랭하면서 한국 등 주변국에 악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