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진흥재단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10대 청소년들은 정보검색 통로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6일 공개한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대 청소년들이 관심이나 흥미 있는 주제가 있을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검색 통로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전체 응답자의 37.3%를 차지했다.
이어 '포털 및 검색엔진'(33.6%), 'SNS'(21.3%), '이용자 기반의 지식생산 사이트'(5.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초등학생은 절반 이상인 50.3%가, 중학생은 34.0%가 검색 통로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꼽았다. 이와 달리 고등학생은 '포털 및 검색엔진'이란 응답이 41.4%로 가장 많았다.
10대 청소년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은 87.4%로 10명 중 거의 9명꼴이다. 이는 세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것이다. 연령별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은 20대가 69.9%, 30대 67.4%, 40대 54.3%, 50대 42.5%, 60대 이상 17.7%였다.
지난 1주일간 이용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유튜브라는 응답이 98.1%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네이버TV(24.7%), V라이브(15.7%), 트위치(14.8%) 순이었다.(복수응답)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로는 다수가 게임(60.7%)을 꼽았다. 이어 '음악·댄스'(53.1%), 'TV드라마·예능'(40.9%), '먹방·쿡방'(39.5%), '영화'(34.2%), '스포츠'(26.2%) 순이었다.
10대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은 모바일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97.2%로 텔레비전(81.8%), PC인터넷(68.7%), 라디오(16.5%), 잡지(8.8%), 종이신문(7.8%)을 크게 웃돌았다.
모바일 기반 디지털 플랫폼 이용률을 보면, 인터넷 포털은 네이버(90.3%), 구글(56.2%), 다음(12.5%) 순서였다. 메신저 서비스는 카카오톡(92.5%), 페이스북 메신저(56.1%), 인스타그램 다이렉트 메시지(20.0%) 순이었다. SNS는 페이스북(80.3%), 인스타그램(61.0%), 트위터(25.3%)를 주로 이용했다.(복수응답)
한편 뉴스를 접하는 통로로는 응답자의 61.6%가 인터넷을 들었다. 이어 TV(52.8%), PC(33.1%), 종이신문(7.8%), 라디오(7.2%), 잡지(3.4%)가 그 뒤를 이었다.
매체별 뉴스·시사 정보 신뢰도는 TV가 3.48점으로 가장 높고, 포털이 3.20점으로 뒤를 이었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2.95점), 종이신문(2.91점), 라디오(2.83점), 메신저 서비스(2.81점), 인터넷 뉴스 사이트(2.66점), 시사 잡지(2.64점), SNS(2.56점) 순서였다.
이밖에 가장 신뢰하는 직업군으로는 교육자(3.34점), 언론인(2.89점), 법조인(3.00점)을 꼽았다. 1인 크리에이터(2.84점), 연예인(2.78점), 고위공직자(2.63점), 종교인(2.61점), 경제인(2.60점)이 그 뒤를 이었으며, 정치인은 2.35점으로 신뢰도가 가장 낮았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6월19일부터 7월19일까지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2363명으로 대상으로 태블릿PC를 이용한 대면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