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희망지수, 46개국 중 43위로 밀혀
새해 살림살이에 대해 국민의 과반수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이 지난해 11월 8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새해 살림살이 전망에 응답자 57%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2%에 머물렀고,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좋아지리란 응답의 두 배를 넘는 29%였다.

2018년 말 실시한 2019년 살림살이 전망과 비교하면 '나빠질 것'이란 응답(41%→29%)이 줄고, '비슷할 것'이란 응답(48%→57%)이 늘었다. '좋아질 것'이란 응답(11%→12%)은 별 차이가 없었다.
새해 국가경제 전망에 대한 설문에서는 10%가 '좋아질 것', 46%가 '나빠질 것', 42%가 '비슷할 것'이라고 답해 살림살이보다 비관적인 응답 비중이 좀 더 높았다.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 57%가 '행복하다'고 응답해 1년 전 조사결과(46%)보다 비중이 높았다. '행복하지 않다'라는 응답은 5%, '어느 쪽도 아니다'라는 응답은 37%였다. '희망지수'(국가경제 낙관 전망과 비관 전망의 격차)를 국가 간 비교한 결과에서는 비교 대상 46개국 중 한국(-17)이 43번째로 하위권이었다.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국가는 이탈리아(-48), 요르단(-53), 레바논(-71) 등 3개국이었다.
'행복지수'('행복하다'와 '행복하지 않다' 비중의 격차)의 국가 간 비교 결과에서는 한국(52)이 29번째로 희망지수보다 높았다. 1위는 콜롬비아(8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