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부동산 및 고위험 자산으로 자금 유입이 확대되거나 금융 불균형이 축적될 가능성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26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경제주체의 수익 추구 성향이 강화된 상황"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시중의 돈이 회사채, 여신전문금융회사채, 해외투자, 대체투자(부동산·실물자산) 등에 쏠리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펀드 가운데 상대적으로 고위험 자산 투자 가능성이 높은 사모펀드 비중이 2009년 말 34.0%에서 올해 6월 말 61.4%로 상승했다. 대규모 원금손실이 발생해 논란이 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도 사모펀드였다.
부동산 경기 변동에 따라 금융기관이 손실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부동산금융 관련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9월 말 현재 1년 전보다 6.5% 증가한 2003조9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기관과 보증기관의 대출은 물론 부동산펀드, 리츠(REITs) 등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 자산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대출 규제로 2016년 이후 증가세가 둔화하긴 했지만,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위험노출액 비율이 9월 말 현재 105.1%로 계속 높아지는데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위험노출액이 늘어나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한은은 "금융기관의 자본 적정성 등 복원력이 과거보다 개선돼 아직 시스템 리스크를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저금리 장기화로 수익률 추구 경향이 더욱 강화되고 시스템 취약성이 축적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은은 또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가계 및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다소 저하되는 움직임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내외 성장세 둔화,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 등에 따라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