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07:30 (토)
'코스피 1900 붕괴' 올 증시 10대뉴스
'코스피 1900 붕괴' 올 증시 10대뉴스
  • 장재열 이코노텔링기자
  • kpb11@hanmail.net
  • 승인 2019.12.25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래소 출입기자 설문조사…·바이오주 급락과 공모리츠 열풍도

올해 주식시장의 부진 속에 '코스피 3년 만에 1,900선 붕괴', '바이오주 급등락 및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 발동' 등이 한국거래소(KRX)가 뽑은 올해 국내 증시 10대 뉴스에 들었다. 거래소는 출입기자단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2019년 증권·파생상품시장 10대 뉴스를 선정(순위 없음)했다고 25일 밝혔다.

▲세계적 'R의 공포'에 코스피, 3년 만에 장중 1900선 붕괴=지난해 말 2,041.04에서 시작한 코스피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시사 발언 및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감 등으로 4월 16일 2,248.63까지 올랐다.

그러나 8월 들어 미국 장단기 금리가 2007년 6월 이후 처음으로 역전돼 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퍼지고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미중 무역갈등이 격화되면서 8월 6일 코스피지수가 장중 1,891.81까지 떨어져 1,900선이 무너졌다.

▲바이오주 급등락 및 3년 만의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 발동=대형 바이오·제약 종목들의 주가가 임상 결과 등에 따라 급등락하면서 코스닥 시장이 출렁였다. 5월에는 코오롱티슈진의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품목허가가 취소됐다. 8월에는 신라젠의 면역항암제 '펙사벡' 3상 중단 발표로 신라젠 주가가 4거래일간 68.1% 폭락했다.

그 결과 8월 5일 코스닥지수가 7.46% 급락하면서 약 3년 만에 코스닥시장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에이치엘비, 헬릭스미스 등 다른 대형 신약개발주도 임상결과 발표에 따라 상한가와 하한가를 오가는 급등락을 겪었다.

▲MSCI 지수 한국비중 축소 및 외국인 21일 연속 코스피 순매도=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중국 주식 편입 비중 확대 등에 따른 한국 비중 축소 등의 여파로 외국인이 11월 7일부터 12월 5일까지 21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이는 약 4년 전인 2015년 12월 2일~2016년 1월 5일의 22거래일 연속 '팔자' 이후 외국인의 최장기간 순매도였다. 순매도 금액도 5조706억원에 이르면서 코스피도 이 기간 2,144.15에서 2,060.74로 3.9% 하락했다.

▲공모리츠 열풍=저금리 추세와 증시 부진 속에 안정적인 배당투자 수단인 상장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가 인기를 끌었다. 올해 상장된 롯데리츠·NH프라임리츠 공모에 12조5109억원의 일반투자자 청약증거금이 몰렸다. 이에 따라 국내 7개 상장리츠의 올해 일평균거래대금이 약 64억원으로 지난해보다 4배 정도 급증하는 등 리츠투자 열기가 뜨거웠다.

▲KRX금시장 및 국채·달러선물 거래량 사상 최고치 경신=세계적 불확실성 확산 등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늘면서 금값과 국채선물 및 달러선물 거래량이 기록을 세웠다. 8월 13일 KRX금시장의 g당 금값은 2014년 시장개설 이후 최고가인 6만1300원까지 치솟았다. 국채선물시장과 달러선물시장의 올해 일평균 거래대금도 각각 지난해보다 약 22%씩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국내투자자 미국 등 해외증권 투자 급증=올해도 미국 증시의 강세가 계속되면서 국내 투자자의 미국 등 해외주식 투자가 급증했다. 1~11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한 미주지역 해외주식 결제 대금은 277억 달러(약 32조1874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30.3% 증가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및 달러 강세 등의 영향으로 해외채권 거래도 크게 늘어 예탁원을 통한 미주지역 해외채권 결제금액은 262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2배 정도 늘었다.

▲증권거래세 인하=정부는 지난 5월 말 모험자본 투자 확대, 원활한 투자자금 회수, 국민 자산형성 등을 지원하기 위해 코스피·코스닥의 증권거래세율(코스피는 농특세 포함)을 종전 0.30%에서 0.25%로 0.05%포인트 내렸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주식 양도소득세와 증권거래세 조정방안 등 금융세제 개선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파생상품시장 활성화 방안 시행=금융위원회의 파생상품시장 발전방안에 따라 개인투자자 진입 규제가 합리화되고 코스피200 위클리옵션과 국채선물 상품 간 스프레드 거래 등 다양한 상품이 공급됐다. 기존에 일률적으로 정했던 개인투자자의 기본예탁금, 사전교육시간 등을 거래소는 최소 수준만 정하고, 실제 적용 수준은 회원사가 투자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투자자별로 차등 적용하도록 했다.

▲메릴린치 허수성주문 수탁 제재=거래소는 지난 7월 미국 메릴린치증권이 허수성 주문 수탁을 금지하는 거래소 시장감시 규정을 위반했다며 회원 제재금 1억7500만원을 부과했다. 메릴린치는 2017~2018년 외국계 헤지펀드로부터 430개 종목에 대해 6220회의 허수성 주문을 수탁, 알고리즘 거래방식으로 광범위하게 대규모 허수성 주문을 냈다고 거래소는 밝혔다.

▲전자증권제도 시행=종이 실물증권 없이 전자적 방법으로 증권을 등록하는 전자증권제도가 2016년 법률 공포 후 3년 6개월의 준비과정을 거쳐 올 9월부터 전면 시행됐다. 전자증권제도 도입으로 실물증권 발행에 따른 사회적 비용, 위변조, 탈세 및 음성 거래 등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29번지 (서울빌딩)
  • 대표전화 : 02-501-63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재열
  • 발행처 법인명 : 한국社史전략연구소
  • 제호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 등록번호 : 서울 아 05334
  • 등록일 : 2018-07-31
  • 발행·편집인 : 김승희
  • 발행일 : 2018-10-15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이코노텔링(econotelling).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unheelife2@naver.com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재열 02-501-6388 kpb11@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