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서울과 대구, 인천, 대전 등 주요 광역시의 집값 상승세가 근래에 보기 드문 수준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10월 기준 서울 주택매매 가격지수는 작년 말보다 6.0%나 올랐다. 다른 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보면 2008년(11.8%) 이래 10년 만에 서울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특히 이 기간 중 올해 서울 아파트 값 상승률은 8.2%로 10년 전(9.9%)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올해 월별 서울 집값 추이를 보면 7월부터 상승폭이 확대돼 9월엔 전월보다 1.2%나 올랐다. 9·13 부동산 대책이 나오면서 주춤하긴 했지만 10월에도 상승률은 0.6%에 달했다.
서울뿐만 아니다. 대구, 인천, 대전 등 주요 광역시 집값은 10월에 상승세가 더 강했다. 대구의 10월 주택가격 상승률은 0.5%로 9월(0.4%)보다 높았고 이는 2015년 11월 이래 최고 수준이었다. 인천도 9월 0%에서 10월 0.2%로 상승률이 높아졌고, 광주는 9월 0.7%, 10월 0.6%로 비슷했다. 대전은 7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였는데 9월 0.2%에서 10월 0.6%로 크게 높아졌다.
반면 지방 주택가격은 1~10월 중 0.8% 떨어져 같은 기간 기준으론 2004년(-0.8%) 이래 14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지역 산업의 구조조정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울산(-0.7%)과 경남(-0.4%)은 지난 10월에도 집값 하락세가 이어졌다.
올해의 가파른 집값 상승과 관련해 한은 관계자는 "과거 부동산대책 이후 주택가격이 일시 안정을 보이다가 재차 상승하는 현상이 되풀이된 경우가 있었다”며 “정책 효과 지속에 대한 경제 주체들의 인식이 바뀌지 않았다면 불안요인이 사라졌다고 단정하기 어려워 보인다"는 진단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