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주산지와 품종 변화를 분삭한 보고서 발간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가 사과 주산지와 품종 변화 분석보고서를 발간했다. 농협빅데이터플랫폼(N-Hub)의 최근 8년(2016년~2023년)간의 농협 출하량과 도매시장 거래량을 분석해 이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농협중앙회는 2알 설명했다.
이 보고성에 따르면 사과 생산량은 자연재해 및 병해충으로 매년 증감을 반복하나, 재배면적은 소폭 증가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사과 최대 주산지인 경북지역은 생산량, 재배면적, 재배농가수 모두 50%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재배농가수는 감소추세에 있다.
반면, 강원지역은 생산량, 재배면적, 재배농가수 모두 증가하고 있으면 특히 2023년 재배면적은 2010년 대비 약 7배 늘어나 사과 재배 적지로 떠오르고 있다.
2023년 농협 출하량은 경북 영주·청송·안동·봉화, 경남 거창 등 상위 5개 지역이 전체출하량의 48%를 차지하였고, 경북 영주·청송의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도매시장 거래량에서는 강원 홍천·정선·양구·횡성·철원지역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정표 농협중앙회 디지털전략부장은"농협이 보유하고 있는 작물 생산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작물들의 주산지, 품종 등 재배변화 양상을 꾸준히 분석해 사과재배 농가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