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소매업·건설업 등 내수 부진 여파로 2분기 1020세대와 40대 임금 일자리가 통계 집계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통계청이 20일 내놓은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을 보면 2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25만4000개 늘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했던 2020년 2분기 21만1000개 늘어난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로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주중에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하는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로 집계된다.
연령별로 보면 30세 미만 일자리가 13만4000개 줄어 2017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 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40대 일자리도 5만6000개 줄면서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이와 달리 60대 이상(26만1000개), 50대(12만4000개), 30대(5만9000개)에서는 일자리가 증가했다.
10·20대와 40대 일자리 사정이 악화한 것은 도소매업·건설업 등 내수 업종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도소매 일자리는 1년 전보다 5000개 늘며 1분기(1만5000개)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 건설업 일자리도 3만1000개 줄며 3개 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부동산업(-8000개)은 일자리가 5개 분기째 줄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보건·사회복지(13만개), 사업·임대(3만2000개) 등에서는 일자리가 늘었다.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은 2만8000개 증가했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 중 지난해 2분기와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494만1000개로 전체의 71.7%를 차지했다. 퇴직·이직 등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44만4000개(16.5%), 기업체가 새로 설립되거나 사업이 확장돼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45만4000개(11.8%)였다. 기업체가 없어지거나 사업이 축소돼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19만9000개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