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경기도 용인 기흥캠퍼스 내 최첨단 복합 연구개발 단지에서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포함한 차세대 D램 등 반도체 초격차 기술 달성에 속도를 낸다.
삼성전자는 18일 기흥캠퍼스에서 10만9000㎡(약 3만3000평) 규모의 복합 연구개발 단지 'NRD-K'(New Research & Development-K)의 설비 반입식을 열었다.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과 주요 사업부장들이 반입식에 총출동해 새로운 출발 의지를 다졌다.
NRD-K는 삼성전자가 미래 반도체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건설 중인 최첨단 복합 연구개발 단지다. 메모리, 시스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반도체 전 분야의 기술 연구 및 제품 개발이 이곳에서 이뤄진다.
이날 설비 반입식을 한 NRD-K Ph.1는 설비 세팅과 웨이퍼 반입 등 작업을 마친 뒤 2025년 중반부터 R&D 라인을 가동할 계획이다. 오는 2030년까지 20조원을 투자할 삼성전자는 NRD Ph.2·Ph.3도 지어 연구개발 역량을 확대하기로 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시작한 기흥캠퍼스에 NRD-K 터를 잡은 것은 본연의 반도체 기술력 및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NRD-K는 최첨단 R&D 설비를 갖춰 첨단 기술개발 결과를 제품 양산으로 빠르게 이전하는 강점이 있다.
그동안 삼성전자를 포함한 많은 반도체 업체가 양산 라인에서 연구개발 라인을 같이 운영해왔다. 이 때문에 연구개발보다는 양산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았다. 기흥 NDR-K는 실제 제조라인이 옮겨진 별도 R&D 공간으로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공정의 수율 및 양산 안정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