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이 미래항공모빌리티(AAM=Advanced Air Moibility) 생태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관련 기술을 공개 시연하며 입지를 넓혔다.
현대차와 기아는 29일 인도네시아 신(新)수도 인근 사마린다(Samarinda) 공항에서 AAM-셔클 기술을 실증하는 공개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인도네시아 교통부, 신수도청 등 정부 관계자와 김철웅 현대차·기아 AAM사업추진담당 상무 등이 참석했다.
AAM은 항공기 전동화를 통해 기존에 항공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거나 부족한 지역에 사람과 화물을 이동시키는 항공운송 시스템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현지 이용 환경에 맞게 서비스를 최적화·고도화하기 위한 지상·항공 통합 모빌리티 기술을 소개했다.
현대차그룹이 직접 개발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셔클' 앱을 선보이고, 당국자들이 직접 앱을 통해 현대차 전기버스 '카운티 EV'를 호출한 뒤 공항 격납고로 이동하는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본 행사장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AAM '오파브'(OPPAV)의 비행이 시연됐다. 오파브는 사전 협의된 경로를 따라 약 2㎞ 구간을 비행했다. 오파브의 전동화 파워트레인에는 현대차그룹이 개발한 분산전기추진 기술이 적용됐다. 이는 여러 개의 모터와 배터리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기술로 오파브 파워트레인을 이루는 핵심 기술 중 하나다.
인도네시아는 국토 면적이 넓고 1만8000여개 군도로 구성돼 있어 AAM 사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현지 AAM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신수도 내 AAM 적용 계획을 수립하고 지상·항공 이동수단 개념 검증, 현지 실증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행사장에는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도심항공 모빌리티 독립법인 슈퍼널( Supernal)이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신형 AAM 기체 'S-A2' 모형이 전시됐다. 김철웅 상무는 "미래항공모빌리티가 자리 잡으려면 기체 개발뿐만 아니라 항공산업 전체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슈퍼널과 현대차·기아는 2028년 AAM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 개발을 지속하고, 미래 AAM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 및 기관과 전략적 제휴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