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고령화 여파로 부산광역시가 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소멸위험 단계'에 진입했다.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에서는 전남의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았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 보고서를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3.0%로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이어 20∼39세(임신·출산 적령기)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에 그쳐 광역시 최초 '소멸위험지역'으로 기록됐다.
소멸위험지수는 낮을수록 소멸 위험이 커진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이면 보통, 0.5∼1.0이면 주의,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역은 부산 등 7개다. 전국 평균 소멸위험지수는 0.615이다. 전남(0.329),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등 4개 도가 0.4 미만이다.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은 전남의 경우 전체 인구가 179만8000명으로 10년 전보다 5.1% 감소했다. 특히 20∼30세 여성인구는 23.4% 급감했다. 우리나라 인구 중 전남이 차지하는 비중은 8.7%이지만, 고령인구 비중은 26.4%에 이르는 '가장 늙은 광역단체'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으로 '저위험' 상태의 지역은 없다. 세종이 1.113으로 가장 높고, 서울(0.810), 경기(0.781), 대전(0.736)의 순서다.
전체 28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130곳으로 57.0%를 차지했다. 20∼30대 여성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도 57곳이나 됐다.
지난해 3월 이후 새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11개, 이 중 8개가 '광역시 구·군'이었다. 광역시 구·군은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부산 4개 구,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이다. 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이다.
서울을 제외한 광역시 전체 45개 구군 중 소멸위험지역은 46.7%인 21개였다. 시도별로 보면 부산이 11개로 가장 많았고, 대구 3곳, 대전 2곳, 인천 1곳의 순서였다.
특히 부산 영도구는 소멸위험지수가 0.256으로 광역시 구 지역 중 가장 낮았다. 영도구가 처음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2017년 인구와 비교하면 20∼39세 여성인구는 11.4%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가 73.5% 급증하면서 소멸위험지수가 내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