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초저출생 대응책으로 아이를 낳아 키우는 동안 집 걱정을 덜 수 있도록 2026년까지 신혼부부에게 공공주택 4396호를 공급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9일 '저출생 대응 신혼부부 주택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우선 신혼부부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장기전세주택Ⅱ'를 새로 도입하고 올해부터 2026년까지 2396호를 공급한다. 공공이 매입하는 임대주택인 '매입형'이 1469호, 공공주택 사업자가 직접 건설하는 '건설형' 임대주택이 927호다.
매입형은 오는 7월 모집 공고가 나가는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300호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잠실 미성크로바·진주아파트와 자양동 일대에 신혼부부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건설형은 구룡마을 300호, 성뒤마을 175호, 송파창의혁신 공공주택 120호 등을 지원한다.
장기전세주택은 6개월 안에 혼인신고를 할 계획인 예비부부나 결혼한 지 7년 이내 부부가 입주할 수 있고, 최장 10년까지 살 수 있다. 모집 공고일 이후 자녀 1명을 낳으면 20년까지 가능하다. 자녀 2명을 낳으면 20년 지난 이후 집을 시세보다 10%, 3명이면 20% 저렴하게 매수할 권리가 주어진다.
오세훈 시장은 "신혼부부 임대주택의 패러다임을 바꿔보려 한다"며 "기존에는 자녀 수가 많아야 입주에 유리했지만, 이제는 아이가 없어도 입주할 수 있고 이후 출산하면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신혼부부를 위한 새로운 임대주택 공급 모델인 신혼부부 안심주택도 2026년까지 2000호 공급하기로 했다. 출퇴근 등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역세권 350m 이내 또는 간선도로변 50m 이내에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