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방문 중 현지 CNBC 방송과의 인터뷰서 "시장 안정화 충분한 수단 갖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데 대해 "시장 펀더멘털을 고려할 때 최근의 변동성은 다소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이창용 총재는 17일 현지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 달러화 강세뿐 아니라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이 환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주변국(일본과 중국)의 엔화와 위안화 약세도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이어 "환율 변동성이 계속될 경우 우리는 시장 안정화 조치에 나설 준비가 돼 있으며, 그렇게 할 충분한 수단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과 관련해 "시기가 지연될 수 있지만, 올해 안에 언젠가는 금리를 인하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1년 반 전에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며 "금리인하에 따른 충격도 1년 반 전처럼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대해선 "우리 금융통화위원회는 금리인하 신호를 아직 보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근원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근원물가는 예상대로 둔화하고 있지만, 소비자물가는 상당히 끈적끈적(sticky)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할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