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낮췄다.
KDI는 9일 내놓은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8월 수정 전망1.5%보다 0.1%포인트 낮은 1.4%로 예상했다. 이는 정부·한국은행·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와 같다.
내년 성장률은 8월 전망치(2.3%)보다 0.1%포인트 낮은 2.2%로 전망했다. 이는 IMF·한국은행 전망치와 같고 정부 전망치(2.4%)보다는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2.1%)보다는 높다.
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은 "8월 전망 때보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시장금리도 많이 올랐다"며 "우리 경제 회복세를 조금 더 늦추는 상황이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성장률을 하향 조정했다. 우리 경제는 아주 완만한 속도로 회복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KDI는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을 종전 2.4%에서 1.8%로 크게 낮췄다.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소비가 위축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건설투자도 고금리 여파로 주택 수주가 위축돼 1.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은 3.8% 증가하고, 설비투자도 2.4%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경상수지는 수출이 회복되는 반면 내수가 둔화하면서 수입이 줄어 경상수지 흑자가 올해 319억 달러에서 내년에 426억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종전의 2.5%에서 2.6%로 소폭 상향했다. 내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해(32만명)보다 적은 21만명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실업률은 올해 2.7%, 내년에는 3.0%로 각각 예상했다.